blank.gif

 

간혹 입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자기소개서를 요구하는 학교들이 있다.

청심국제고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정작 많은 중학생들은 자소서를 써보라고 하면

막막하게만 느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오늘은 청심국제고를 중심으로,

자소서를 어떻게 작성하면 되는지 소개하도록 하겠다.

1. 자기소개서의 서두는 책 이야기로 시작하라

반드시 따라야 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자소서를 시작할 때는 책 이야기를 하는 것이 좋다.

많은 학생들, 심지어는 학부모도 착각하는 것인데, 자소서는 개조식 이력서가 아니다.

그저 자신이 무엇을 했는지 순서대로 열거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활동들이 하나의 이야기로 묶임으로써

지원자의 면모를 심사자가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글이 자소서이다.

그런데 중학교 시절 자신이 읽은 책에 관한 이야기를 꺼내면

그 이후의 여러 내용을 일관된 주제로 소개하기가 용이해진다.

예컨대 어떤 책을 읽으니 어떠한 호기심이 생겼고, 그 호기심에 따라 어떤 활동을 했으며,

활동 중 어떠한 부족한 면모를 발견해 다른 무언가를 시도했다는 줄거리를 만들 수 있다.

2. 자기소개서에 언급하는 책은 깊이가 있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자기소개서에서 언급할 책으로는 고전을 선정해야 한다고 말한다.

전반적으로는 훌륭한 조언이다.

하지만 그런 조언을 하는 사람들도, 또 그런 조언을 받아들이는 사람들도

정작 왜 고전을 선정해야 하는지에 관해서는 충분히 생각해보지 않는다.

그저 막연하게 고전은 좋은 책이니까 자소서에서 언급해도 좋다는 식이다.

하지만 생각해 보자.

고전은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로부터 그 가치를 인정받아 권위를 지니게 된 문헌인데,

어째서 그런 평가를 받게 된 것일까? 다름 아닌 깊이가 있기 때문이다.

달리 말해, 책에 깊이가 있다는 것은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읽는 이로 하여금 충분히 사색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같은 견지에서, 예컨대 플라톤의 『국가론』도 자소서에서 활용하기에 훌륭한 책이지만,

비록 아직 고전의 반열에 올랐다고 보기는 어려울지라도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도

이를 읽은 학생이 여러 방면에서 깊이 생각하도록 했다면 자소서에서 언급하기에 좋은 책이다.

3. 본문을 작성하기 전, 자신이 중학교에서 했던 모든 활동을 표로 정리해 본다

앞서 말했다시피, 자소서를 쓸 때는 여러 활동을 하나의 이야기로 묶을 수 있어야 한다.

이 지점에서 학생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는데,

자신이 해온 여러 활동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자소서 얼개의 실마리를 찾는 일이 굉장히 쉬워진다.

특히 표로 정리하는 일을 권장한다.

4. 초안을 작성할 때는 분량 제한에 연연하지 말자

대개 청심국제고는 지원자의 자소서 분량을 1500자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본문을 10포인트로 작성한다고 할 때, A4 1쪽도 채우지 못하는 양이다.

그러다 보니 어떤 내용을 담아야 할지 고민하며 끙끙대는 학생들이 있는데,

처음 본문을 작성하기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분량 제한에 연연하지 말아야 한다.

우선은 최대한 길고 자세하게 쓰고, 이후 본문을 손질하며 분량을 줄여나가는 방식이 더 쉽기 때문이다.

제목
설은수 수학 멘토 / 서울대 기계항공공학과 졸업 File
최은지 멘토 / 서울대 제약학과

몇 년간 학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치면서 깨달은 건, 전혀 생각지도 못했던 문제점들이 발견된다는 점입니다. 당연히 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공부법조차도 학생들이 잘 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는 그야말로 수학의 기본 같은 것이라, 학생들을 지도할 때 반드시 신경을 써서 확인합니다. 이 글에서는 이처럼 놓치기 쉬운 ...

양희문 멘토 / 연세대 기계공학과 졸업

안녕하세요, 양희문입니다. 학원에서 근무한 경험을 비롯한 다수의 학생 지도 경험을 바탕으로 느낀 바는, 학생이 진정 성장하고 공부하는 데 있어서는 단순히 특정 과목에 대해 문제를 풀어주고, 질문을 받아주는 것 이상의 그것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제 학습 경험과 학생 지도 경험을 바탕으로, 제 멘토링...

원지수 멘토 / 연세대 스포츠응용산업학과

안녕하세요, 압구정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멘토로서 활동하고 있는 연세대 스포츠 응용산업학과 멘토 원지수입니다. 지난 몇 년간, 열 명이 넘는 서로 다른 아이들을 만나고, 지도해왔습니다. 그 경험에서 새로이 배우고 느낀 것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중, 고등학교에서 공부하면서 느낀 것들, 그리고 멘토로서 아이...

장혜원 멘토 / 연세대 심리학과

예체능 준비생에서 정시 최상위권까지, 1년만의 변화 안녕하세요, 연세대 심리학과 멘토 장혜원입니다. 거두절미하고 말하자면 저는 고등학교 3학년 때까지 미술을 했었습니다. 유학을 진지하게 염두에 두고 있었을 만큼, 중고등학교 때의 기억은 오로지 미술 하나뿐입니다. 그러던 제가 미술을 그만두고 공부로 노선을 튼 ...

조성지 멘토 / 서울대 국어교육과 졸업

안녕하세요, 서울대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담임 멘토로 활동하는 조성지입니다. 사범대에 있으면서 교육을 전공하며, 생각하고 느낀 바가 적잖이 있습니다. 중고등학교 생활, 대학생활을 거치며 또래를 비롯한 많은 학생들을 만나왔습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에 대한 저의 생각을 이야기해볼까합니다. 장기적으로...

태그 목록